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20권 3호

[조사·통계 브리프] 고등학생의 학교진로활동 성과

저자명
김민경 류지영
분류정보
THE HRD REVIEW()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7.05.30
등록일
2017.06.01
Ⅰ. 문제 제기
   □ 진로교육법의 시행 등 진로교육의 활성화에 따라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양적 확대와 질적 제고를 꾀하고 있음.
   □ 학교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진로활동은 학생들에게 진로교육 만족도를 높이고, 진로역량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임. 또한 자신의 미래에 대하여 꿈을 키우고 계획할 때 학업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 주도적인 학습 전략을 꾀할 수 있게 함.
   □ 본 분석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학교진로활동의 성과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봄. 첫 번째는 진로교육 만족도와 진로개발 역량이고 두 번째는 학교진로활동 여부에 따라 학습 성과인 학습 동기과 학습 전략에 대한 관계성을 분석하였음.

Ⅱ. 분석 자료 및 변수
   □ 본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진로교육 현황조사(2016)' 데이터를 활용함.
   □ 본 분석에서 사용된 주요 성과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Ⅲ. 분석 결과
   □ 고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진로활동의 항목은 진로와 직업(수업),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체험, 진로동아리, 진로탐색(교과 수업) 등 6가지임.
   □ 고등학교에서의 진로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의 차이를 살펴봄. 그 결과 진로교육 성과와 마찬가지로 학교에서의 진로활동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 진로활동을 경험한 고등학생들의 만족도와 진로교육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진로활동 만족도와 학습 성과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고등학교의 진로활동 중에서 다양한 진로체험 경험에 따른 진로교육 성과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진로체험 유형별로 경험 여부에 따른 학습 성과 차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음.
   □ 유형별로 진로체험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진로교육 성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
   □ 유형별로 진로체험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학습 성과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표임.

Ⅳ. 요약 및 시사점
   □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활동의 효과에 대해 분석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20권 3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