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는 글
Ⅱ. 현상 인식
1. 국내외 환경 변화
가. 산업 구조와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
나. 사회 구조의 변화와 과제
2. 개혁의 필요성
가. 환경 변화에 따른 과제
나. 인재육성 관련 과제
Ⅲ. 개혁의 방향성
Ⅳ. 인재·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와 정책적 접근
1. 노동자가 기업 내외에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의 실현
가. 기업에 의한 경력 경영의 확립
나. 노동자의 주체적인 인재육성 추진
다. 기업 외에서 능력개발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등의 개혁
Ⅴ. 고용·인재 정책의 방향성
1. '일하는 방법'의 개혁 실현
2. '프로'의 최대 활용
3. 산업계·교육계의 참가와 및 관계부처의 고용·교육 정책의 커뮤니케이션 환경 정비
Ⅵ. 변혁 시대에 대응한 고부가가치 인재육성의 활용 방안
1. 직업 선택의 다양화·조기화
가. 실천적인 직업교육을 하는 고등교육기관의 제도화
나. 단계적인 커리어교육의 확립
다. 인턴십의 제고
2. 중·장년층의 최대 활용
3. 노동 시장 인프라의 정비
가. '커리어·독' 지원
나. 기업의 인재육성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