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정책
□ 고용노동부(장관 김영주)는 2018년 8월 8~13일 국가기술자격 심의위원회(위원장: 고용노동부 장관)를 통해 2019년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대상 종목 32개(3D프린터운영기능사 등)를 추가로 선정 (2018.08.21.)
□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김동만)은 특성화 고등학교 현장교육훈련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기계 및 전기·전자 등 16개 분야 530개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의 훈련 표준 모델을 개발 (20118.08.17.)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직업계고(특성화고·마이스터고·일반고 직업계열) 현장실습 산업체에 대한 강화된 지도·점검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예정 (2018.08.09.)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미래 직업교육훈련의 혁신 방향과 중장기 전략을 담은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안'을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하여 발표 (2018.07.27.)
II. 통계
◈ 청년층(15~29세)의 직업교육(훈련)실태: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2018.05.) 결과
□ 청년층 인구 중 직업교육(훈련) 경험자 비율은 18.8%로 전년도 대비 0.4%p 증가함.
□ 청년층의 주요 직업교육(훈련) 기관을 살펴보면, 직업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청년층의 57.3%가 사설학원에서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남.
□ 청년층 인구 중 직장체험 경험자 비율은 42.4%로 전년도 대비 0.7% 증가함.
□ 청년층 직업체험 경험자의 직장체험 형태는 시간제(72.3%)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을 준비해본 경험이 있는 비율은 13.1%로 전년도 대비 1.2%p 감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