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Ⅱ. 현장 변화에 기반한 직업능력개발
1. 직업능력개발 현황
2. 직업능력개발 현장 변화
■ 인구구조 변화
■ 산업 및 일자리 변화
■ 이중구조의 노동시장
Ⅲ. 현장 기반의 직업능력개발 성과
1. NCS 개발 및 활용
2. NCS를 통한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
3. 일학습병행제 안착
4. ISC 역할 강화
Ⅳ. 향후 필요한 직업능력개발 과제
1. 포용과 사회 통합을 위한 훈련 기회의 균등화
■ 맞춤형 훈련 설계
■ 훈련-복지 연계형 사업 추진
2. 중소기업 훈련 확대 및 지원
3. 노사 협력적 직업능력개발 체계
■ 노사 협력 차원의 포용적 일터혁신
■ 노사 협력 교육훈련제도 도입
4. 직업훈련 플랫폼 구축
5. 신산업 분야 훈련 확대
6. NCS 기반 직업훈련 내실화
7. 일학습병행제의 정착 및 내실화
8. ISC 관리·운영 내실화
9. 자격제도 관리·운영 내실화
■ 상호 인정 역량체계 설계
■ NCS 기반 국가기술자격 강화
■ 국가기술자격 검정 개선
■ 일학습병행-과정평가형 자격 연계
■ 국가 간 자격 상호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