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 분석 대상
2. 검사 도구
(1) 직업가치관검사
(2) 주요능력효능감검사
(3) 진로개발준비도검사
Ⅲ. 진로 특성 분석
1. 직업가치관 분석
(1) 대학생 및 성인의 직업가치관 양상
(2) 성별에 따른 직업가치관 차이
(3) 연령대에 따른 직업가치관 차이(성인)
2. 주요능력효능감 분석
(1) 대학생 및 성인의 주요능력효능감 양상
(2) 성별에 따른 주요능력효능감 차이
(3) 연령대에 따른 주요능력효능감 차이(성인)
3. 진로개발준비도 분석
(1) 대학생 및 성인의 진로개발준비도 양상
(2) 성별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차이
(3) 연령대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차이(성인)
Ⅳ. 정책적 제언
1. 대학생 및 성인의 진로 특성을 고려한 진로교육 및 진로개발 정책 수립 및 실행
2. 대학생 및 성인 대상 진로교육 및 진로지원 프로그램의 설계·실행 시 대상자의 배경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 대학생 및 성인 대상 진로개발 및 진로지원 정책과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차별화를 위해 여러 종류의 데이터 수집·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