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편성·운영 측면의 쟁점과 개선 과제
1. 제도적 측면
(1) 시·도교육청의 지침 필요
(2) 수료·졸업에 대한 규정과 교과 재이수
(3) 졸업연한 유연화(조기졸업 및 졸업유예)
2. 교육과정 편성 측면
(1) 교육과정의 목표와 과목 선택의 범위
(2) 주 전공과 부전공, 복수전공의 요건 설정
(3) 자격과정 운영 여부 결정(교육과정과 자격과정의 연계 여부)
(4) 필수/선택과목 선정(동일학과 내)
3. 교과활동 및 학사활동 측면
(1) 학점 이수 방법의 다양화(교과외활동을 통한 교과 학점 이수)
(2)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과활동 대체 여부
(3) 계절학기 및 방과 후 교육활동(일과시간 이후의 정규 교육과정)
4. 평가 측면
(1) 평가와 과목별 수강 인원 설정
(2) 자격과정 평가와 교과목 평가의 연동
5. 학교 간 / 학교 밖 모형 운영 방안 논의
(1) 학교 간 모형 운영 방안 준비
(2) 지역사회 학습장 연계형의 유형 설정(학교 밖 모형)
(3) 학교 밖 학습경험과 위탁교육기관의 관리 및 지원(학교 밖 모형)
(4) 온라인 활용형 운영 모형 준비(학교 밖 모형)
6. 교육과정 체제 측면
(1)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변경 및 고시외과목 편성에 대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지원
(2) NCS 교육과정의 유연성 제고(NCS 교과체계의 개선)
(3) NCS 수정 고시에 따른 교육훈련 과정의 개정 시기 조정
7. 교원 수급을 위한 산학겸임교사 등 교·강사 활용 측면
8. 외부 제도와의 연계 강화
(1) 학점은행제와의 연계
(2) UP제도와 연계
Ⅲ. 교육과정의 질 제고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