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국내 박사학위 취득자 수는 2010년도까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다가 이후부터 그 증가세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교육개발원의 「201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에 따르면, 2018년 2월과 2017년 8월 일반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은 78.9%이고 전년 대비 1.2%p 증가하였음(한국교육개발원, 2019).
Ⅱ. 분석 자료 및 분석 대상의 기본 특성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는 국내 대학에서 박사를 취득한 신규 학위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수조사이며, 본고에서는 2019년 8월 및 2020년 2월 박사학위 취득자 중 외국인을 제외한 9,103명을 대상으로 함.
□ 국내의 2019년 8월 및 2020년 2월 박사학위 취득자 중 본 조사의 응답률은 약 64.4%이며, 이 중 본고의 분석 대상 특성은 다음과 같음.
Ⅲ. 신규 박사인력 이행 실태
□ 학업전념자와 직장병행자
□ 박사학위 취득 후 첫 일자리 특성
□ 박사학위 취득 후 첫 일자리의 직장 형태
□ 박사학위 취득 후 첫 일자리의 직업
□ 박사학위 취득 후 첫 일자리의 종사상 지위
□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희망 직업
Ⅳ.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