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Ⅱ.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교육정책 변화
1. 미국
(1) 기술적 준비도(Technological readiness): 인프라 및 플랫폼
(2) 콘텐츠 준비도(Content readiness)
(3) 교수학습지원 준비도(Pedagogical and home-based learning support readiness): 교사·학부모 지원
(4) 관리 및 평가 준비도(Monitoring and evaluation readiness)
2. 독일
(1) 기술적 준비도(Technological readiness): 인프라 및 플랫폼
(2) 콘텐츠 준비도(Content readiness)
(3) 교수학습지원 준비도(Pedagogical and home-based learning support readiness): 교사·학부모 지원
(4) 관리 및 평가 준비도(Monitoring and evaluation readiness)
3. 일본
(1) 기술적 준비도(Technological readiness): 인프라 및 플랫폼
(2) 콘텐츠 준비도(Content readiness)
(3) 교수학습지원 준비도(Pedagogical and home-based learning support readiness): 교사·학부모 지원
(4) 관리 및 평가 준비도(Monitoring and evaluation readiness)
4. 싱가포르
(1) 기술적 준비도(Technological readiness): 인프라 및 플랫폼
(2) 콘텐츠 준비도(Content readiness)
(3) 교수학습지원 준비도(Pedagogical and home-based learning support readiness): 교사·학부모 지원
(4) 관리 및 평가 준비도(Monitoring and evaluation readiness)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원격수업의 전략과 과제
1. 기술적 준비도(Technological readiness): 인프라 및 플랫폼
(1) 인프라
(2) 플랫폼
2. 콘텐츠 준비도(Content readiness)
3. 교수학습지원 준비도(Pedagogical and home-based learning support readiness): 교사·학부모 지원
(1) 교사 지원
(2) 학부모 지원
4. 관리 및 평가 준비도(Monitoring and evaluation readiness)
(1) 관리
(2)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