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직업교육/직업능력개발 동향
◈ 2021년 교육통계연보
□ 최근 5년(2017~2021년)간 직업교육 특성화고의 전체 재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또한 고등학교단계 직업교육기관의 학교 수와 학생 수는 공업고가 학교 수 200개(43.2%), 학생 수 89,475명(45.6%)으로 가장 많음.
□ 중학교의 졸업자 수는 412,562명으로 2020년(445,526명)에 비해 32,964명 감소하였음. 또한 전체 고등학교 진학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일반고에 진학한 비율은 74.3%로 2020년(73.2%)에 비해 1.1%p 증가하였음.
□ 산업수요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의 학교 수는 51개교로 2020년(50개교)에 비해 1개교 증가하였으며, 학급수는 981개로 전년과 동일함. 반면 학생 수는 17,960명으로 2020년(18,230명)에 비해 270명 감소하였음.
□ 일반대학교 졸업자는 325,306명으로 2020년(324,004명)에 비해 1,302명 증가하였고, 전문대학교 졸업자는 163,472명으로 2020년(168,157명)에 비해 4,685명 감소하였음.
Ⅱ. 정책
□ 교육부, 「2022년 대한민국 인재양성 사업 안내서」 발간(2022. 2. 21.)
□ 고용노동부, 사회적경제 핵심인재 연 200명 육성, 대학이 앞장선다(2022. 2. 21.)
□ 교육부, 디지털 대전환 시대, 「산업맞춤 단기직무능력인증과정」 개발·운영 확대(2022. 1. 20.)
□ 한국산업인력공단, ‘귀농·귀촌에 도움이 되는 국가기술자격’ 선정·발표(2022. 1. 27.)
□ 고용노동부, 2022년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1,522개 과정 선정(2022.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