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디지털전환과 탄소중립 경제, 지역균형발전이 독자적 정책 영역이면서 동시에 그 영향이나 대상이 중첩되는 의제이며, 국가 인재정책이나 직업능력정책을 재편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디지털전환과 그린전환의 중첩과 역동적 상호작용에 주목하고 이것이 향후 고용과 직업능력정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복합전환은 생산과 서비스를 재구조화하고 제조의 서비스화를 수반하는 기술 변화와 생산조직의 개편을 초래하며 지역과 권역, 글로벌 수준에서 노동시장과 생활 세계의 시간과 공간 재편을 가속한다. 복합전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과 같이 중앙정부의 정책 기획과 지자체의 실행이라는 하향식 정책 거버넌스는 적합하지 않으며 범부처, 중앙정부-지자체의 협업에 기반한 상향식 의사결정과 재원조달, 정책 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복합전환은 디지털전환의 기술적 영향과 그린전환이라는 글로벌 정책 의제에 영향을 받으면서 지역단위에서의 불균형으로 실현된다. 최근 발전 부문에서 산업전환에 대한 대응 정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도 지역단위 거버넌스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였다. 전환의 과정에서, 일하는 사람 모두의 기본적 삶의 질과 안정성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모두에게 양질의 일자리와 능력개발 기회를 부여하는 정의로운 노동전환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정의로운 전환’은 지역 혁신 주체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에 기반한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서 새로운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