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27권 3호

[이슈 분석] 전환 시대의 협약형 특성화고 정책 도입 및 과제

저자명
김성남
분류정보
THE HRD REVIEW(27-03-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09.30
등록일
2024.09.30
학령인구 감소와 산업 및 노동시장의 급속한 변화 등은 중등 단계 직업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를 중심으로 하는 중등 단계 직업교육이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특히 특성화고의 경우 실질 취업률의 하락 및 대학 진학 기회 확대 등에 따라 선호도가 크게 하락하면서 입학 자원 확보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성화고의 변화 동향을 학교 수 및 학생 관련 현황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2023년 기준 특성화고는 공립 257개교, 사립 205개교 등 총 462개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2011년 총 476개교에 비해 14개교가 줄어든 수치이다(2011년 대비 2.9% 감소). 이는 특성화고에서 마이스터고로의 전환과 일부 학교의 폐교와 함께, 기존 일반고(직업계열)의 특성화고로의 전환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김종우·김남희, 2022). 같은 기간 일반고 수는 1,554개에서 1,666개로, 2011년 대비 7.2%가 증가하였다.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4) 2024.01.01~2024.12.31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