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현재 청년 실업률은 5.5%로, 전체 실업률은 2.3%이다. 최근 통계청과 보건복지부 발표에 의하면 청년이 최종 학교 졸업 후 임금 근로자로 첫 취업하는 데 걸린 기간은 11.5개월로 거의 1년이 소요되었다(연합뉴스, 2024.11.21.). 이는 전년에 비해 1.1개월이 늘어난 기간이며 2004년 이후 역대 가장 긴 소요 기간이다. 또한 지난 7월 청년층 인구 815만 명 중 ‘쉬었음’ 인구가 44만 3,000명으로 5.4%였다. 이러한 수치는 코로나19 기간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최근 청년 구직활동 기간과 청년 니트족의 증가는 장기화되는 경제 불황의 여파 등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다수 학자들은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의 구조를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적한다. 특히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문제는 우리사회의 고질적인 과제로, 다양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노동시장 미스매치란 ‘노동시장에서 노동력에 대한 수요와 공급 간의 불일치 현상을 말한다(유길상, 2016). 반가운 외(2017)가 발표한 스킬 수준의 국제비교 연구에서는 한국은 높은 교육열과 사교육으로 축적한 청년기의 인적자본이 하향취업 미스매치를 거쳐 높은 숙련 퇴화로 이어짐을 밝혔다. 즉 한국의 스킬 미스매치 문제는 스킬과잉의 문제가 핵심이며, 스킬과잉은 고숙련의 좋은 일자리는 부족하고 저숙련의 질 낮은 일자리는 많은 데에서 기인하는 스킬의 저활용(under-utilization)이라는 특징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는 기업 차원의 좋은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노동시장 제도 차원에서 일자리 질 제고와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