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AI 활용, 긍정적 인식 속에 기대와 불안 교차” - 직능연, AI 시대의 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불안 분석 □ 인공지능(AI)의 확산은 고등교육에서의 학습 경험과 교수·평가 방식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며 새로운 전환점을 열고 있다. 보편적 학습 도구로 자리 잡으면서, 효율성과 창의성 증진과 함께 인지적 의존, 진로 불확실성 등 새로운 긴장도 동반하고 있다. ○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9월 25일(목) 『KRIVET Issue Brief 307호(AI 시대의 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불안)』를 발표했다. □ 주요 분석 결과(붙임 KRIVET Issue Brief 307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 전반적으로 AI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이며, 사회적·경제적 파급력에 대해서도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 분석 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교육 전환: 인재양성 아젠다(2024)」 조사 데이터 ※ 조사 대상 : 2024년도 1학기 기준, 생성형 AI 이용 경험이 있는 4~6년제 대학 재학생 726명 - 전체 응답자의 81.1%가 “AI가 할 수 있는 일에 감탄한다”고 답했으며, 76.4%는 학업이나 일에 활용하고 싶다고 응답해 높은 수준의 수용성과 활용 의지가 나타났다. - 전체 응답자의 67.6%가 “AI는 우리나라에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61.2%가 “AI 시스템은 인간보다 더 나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응답해, AI의 사회·경제적 잠재력에 대한 기대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이는 대학생들이 AI를 개인의 흥미로운 학습 자원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적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는 기술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AI에 대한 학습 불안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일자리와 사회·기술적 위험에 대한 불안은 높게 나타났다. - 조사 결과, 대학생들이 AI 자체에 대한 학습 불안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기술 발전이 초래할 수 있는 직업적·사회·기술적 영향에 대해서는 불안을 느끼는 이중적인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 AI 기술에 대한 의존이 문해력과 사회적 영역에 미칠 위험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생들은 문해력 저하, 인간 고유의 역할, 윤리적 책임, 사회적 위험 인식 등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자기 인식을 드러냈다. - “AI 활용이 문해력을 저해할 수 있다”와 “AI가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비판할 수 있다”에 대해 응답자의 60% 이상이 긍정적으로 동의하였고, “AI 사용 과정에서의 윤리적 책임을 이해한다”는 문항의 긍정 응답률은 6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림4> AI에 대한 불안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내 그림 참조 ○ 본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윤혜준 선임연구위원은 “미래 교육은 AI 활용 기술 습득을 넘어서, 비판적 성찰·윤리적 판단·정서적 안정까지 포괄하는 확장형 문해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대학은 전문성을 보유한 인재를 길러내는 데 머무르지 않고, 창의적 응용·비판적 사고·책임 있는 활용을 전문성과 결합하여 차별화된 가치 창출 역량을 함양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