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영향 요인 비교 분석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Career Maturity and Influence Factors of Specialization High School Students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저자명
김진원 모영민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2-01-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3.29
등록일
2019.04.09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Ⅱ(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Ⅱ: 이하 KEEPⅡ)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비교·분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진로성숙도 평균 차이 분석을 실시하고, 3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및 학교 특성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이 특성화고 학생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개인 및 학교변수를 투입하여 위계적 다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학교 유형 모두에서 취업지도활동 경험과 진로교육만족도 등 학생수준 과정변수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학교 간 일부 차이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진로성숙도를 제고하고 직업고교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합리적인 직업계고의 진로교육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matur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using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 II (KEEP II) data. To achieve this goal, we applied the 3-level multilevel model to estimate the school level variance among the overall variances on career maturity, and compared and analyzed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at meister high schoo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areer matur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hierarchical analysis with interest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cess variables at the specific student level in both types of schools, such as employment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some differences were derived between the two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we tried to clarify the problems of career education in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and provided a wa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polic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