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대학입학사정관의 평가전문지식에 관한 휴리스틱 과제분석 연구

Heuristic Task Analysis on College Admissions Officers
저자명
정휘봉 이지연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2-01-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3.29
등록일
2019.04.09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학생부종합전형 관련 쟁점의 핵심은 정성적 자료인 학생부자료를 평가하는 기준의 일관성과 공정성의 문제이며, 이는 학생부의 교과 및 비교과활동 기록과 자기소개서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4년제 A대학의 입학사정관 2명을 대상으로 휴리스틱 과제분석(Heuristic Tas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총 4차에 걸친 전문가와의 개별 심층면담과 전문가 업무수행에 관한 참여관찰, 그리고 평가과정에서 전문가가 작성한 다양한 문헌 및 교육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입학사정관의 평가과정은 크게 1) 지원자의 경향 파악; 2) 제출서류 확인 및 학생 평가; 3) 평가 결과 재확인; 4) 위촉사정관과 평가 및 협의의 4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단계별로 전문가들은 기술적 모형과 어림법칙, 심성모형, 결정모형 등 다양한 유형의 휴리스틱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업무수행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 통합으로 인한 인재상의 변화 및 모집인원 대폭 확대에 따른 고교와 학생의 변화, 입학사정관 1인당 평가인원의 증가와 같은 외부요인들도 입학사정관의 학생부 서류평가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업무 분석 및 직무교육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Utilizing heuristic task analysis (HTA), a method developed for eliciting, analyzing, and representing expertise in complex cognitive tasks, the study analyzed the task of college admission officers and identified the process and types of heuristics associated with the task. Two expert college admissions officer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focused on the college admissions evaluation protocol at a 4-year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participating experts were asked to articulate their underlying thoughts and principles for evaluating college applicants to elicit procedural steps and sub-steps involved in college admission evaluation process and heuristic knowledge with which the experts performed each step. Based on the interviews, the study identified four steps of the college admissions evaluation process and five types of heuristics (i.e., descriptive models, mental models, rule of thumbs, decision rules, and explanatory models) utilized by the experts during each step. The unique nature of heuristics utilized during the college admission evaluation process as well as important challenges faced by college admission officers were discussed and the study also present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