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청년층의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분석

Determinants of Job Mobility and Wage Effects of Youth
저자명
황광훈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2-01-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3.29
등록일
2019.04.09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직업력(1~10차 : 2007~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이직 결정요인과 이직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전문대졸, 임시/일용직, 중소기업 근로자의 이직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직경험자는 비이직자보다 평균적으로 4.3% 낮은 임금을 받고 있으며, 이직경험자 집단안에서는 산업간 이직자는 산업내 이직자에 비해 2.6%, 직종간 이직자는 직종내 이직자에 비해 1.9% 낮은 임금을 받고 있다. 특히, 비자발적인 이직경험자의 임금수준은 자발적인 이직경험자에 비해 7.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job mobility and the effects of job mobility on wages by using data from the Youth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on the Youth Panel Survey (1-10th year: 2007-2016). According to this analysis, women, college graduates, temporary/daily workers, and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 workers were highly likely to be transferred. In addition, those who experienced mobility earned an average of 4.3% lower wages than those who did not. In the group of experienced workers, the workers who moved between industries received 2.6% lower wages than those who moved in industry and workers who moved between occupations received 1.9% lower wages than those who moved in occupation. In particular, the wage level of those who experienced involuntary mobility was 7.7% lower than those who experienced voluntary mobilit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