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조직지원, 개인-직무 적합성, 신뢰, 웰빙 간 종단적 구조관계 분석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Support, Person-Job Fit, Trust, Employee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Using A Latent Growth Model
- 저자명
- 조윤성 송해덕 홍아정 박규미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2-01-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03.29
- 등록일
- 2019.04.09
이 연구는 긍정적 일터환경 구축의 핵심요인인 구성원 웰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개인 및 조직 변인을 선별하여 변인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조사된 한국교육고용패널 자료를 토대로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조직 구성원의 웰빙과 영향요인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 개인-직무 적합성, 신뢰는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조직 지원, 개인-직무 적합성, 신뢰의 변화는 웰빙의 변화를 설명하는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 개인-직무 적합성, 신뢰 수준의 초기 값이 높을수록 해당 조직 구성원의 웰빙 초기 값도 높았다. 둘째, 조직지원, 개인-직무 적합성, 신뢰 수준의 변화는 구성원 웰빙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미래 일터에서 강조되는 구성원 웰빙의 가치를 환기하고, 웰빙을 촉진하기 위한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영역에서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and personal variables that are expected to affect employee well-being. A latent growth model is used to investigate changes in employee well-being and determinants from 2013 to 2015.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organizational support, person-job fit, and trust affect employee well-being? Second, do organizational support, person-job fit, and trust change explain changes in employee well-be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initial level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son-job fit and trust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 initial level of employee well-being. Second, the rate of change in organizational support, person-job fit, and trus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in employee well-being. In conclusion it is emphasized that the value of employee well-being in the future workplace with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n managing and developing employee well-being.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