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직원에 대한 평가제도의 유형 및 다양성이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loyee Evaluation Types and Diversity on Job Satisfaction and Proficiency
- 저자명
- 백순근 손주영 조시정 양현경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2-01-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03.29
- 등록일
- 2019.04.09
이 연구는 직원 평가제도의 유형 및 다양성이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 것이다. KRIVET의 7차년도(2017년 조사) HCCP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모든 문항에 성실히 응답한 총 386개 기업(제조업 293개, 금융업 32개, 비금융 서비스업 61개)이었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직원에 대한 평가제도의 유형이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에는 역량평가가, 숙련도에는 다면평가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종에 따라 직원에 대한 평가제도 유형이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원에 대한 평가제도의 다양성이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5~6개의 평가제도를 실시했을 경우가 1~2개의 평가제도를 실시했을 경우보다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업종에 따라 직원에 대한 평가제도의 다양성이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기업에서 어떠한 평가제도를 실시하고, 또 얼마나 다양한 평가제도를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evaluation types and diversity employed by a corporate affect job satisfaction and proficiency. The 7th year data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included a total of 386 corporates (manufacturing: 293, financial: 32, and non-financial service: 6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types on job satisfaction and proficiency were different. For example, competency evalu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multi-source evaluation on job proficiency had the strongest effects. Second, the types of evaluation and their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proficiency differed across the three industries. Third,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diversity on job satisfaction and proficiency were different. For example, employing five or six evaluation methods has a stronger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roficiency than using one or two. Fourth, the evaluation diversity and its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proficiency differed by three industries. In sum, each corporate must systematically examine what or how many employee evaluations will be administer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1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