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2호

독일의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 지원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Policy of Multicultural Youth in Germany: focusing on policies supporting vocational education
저자명
유진영 김기홍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2-02-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7.31
등록일
2019.08.05
독일은 1960년대 이후 이주노동자의 사회 적응과 통합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 이주 1,2세대와 난민의 유입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사회통합정책에 힘쓰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독일사회에 적응하고 진입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교육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통합에 대한 직업교육 지원 정책과 동향을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며 연구 방법은 최근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관련 국내외 문헌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난민 문제해결과 이민법 개정 등으로 이주국가로서 다양한 다문화 교육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독일에서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 지원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우리의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Germany's policies that support vocation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youth as the country, has long been implementing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such as resolving refugee issues and amending immigration laws.?As a multiethnic immigrant country, Germany has focused on soci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of migrant workers since the 1960s, but with the recent influx of migrants and refugees, the country has been focusing on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youth.?Therefore, Germany has strengthened policies to support vocational education so that multicultural youth can adapt to enter German society, and has provided variou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education consumers.?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policies and trends in supporting vocation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teenagers.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reviewed Germany‘s policies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vocational education and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to examine recent trend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presented improvement and implications for Korea's policy on supporting vocation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youth.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