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2호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NCS 기업활용 컨설팅 우수사례 성과 분석

An Analytical Review of Performance for Best Practices in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Consultingby Network Text Analysis
저자명
유경옥 최지원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2-02-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7.31
등록일
2019.08.05
이 연구의 목적은 NCS 기업활용 컨설팅 사업의 우수사례로 선정된 21개 기업을 대상으로 NCS 기업활용 컨설팅 성과의 경향성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2016~2018년 동안 매년 발행된 NCS 기업활용 컨설팅 우수사례집의 성과 자료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업활용 컨설팅의 주요 성과는 15개의 주제(직무, 채용, 직원, 개발, 교육훈련, 활용, 기업, 직무기술서, NCS, 기반, 체계적, 채용프로세스, 인사관리, 체계, 평가)를 중심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NCS 기업활용 컨설팅의 성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맞춤형 교육훈련을 통한 개인역량 및 조직성과 향상’이 첫 번째 세부적인 성과인 것으로 나타났다(하위집단 네트워크 1). 이와 같은 성과는 NCS에 기반한 직무?개인 맞춤형 교육훈련 체제의 개발 및 보완 컨설팅을 통해 개인과 조직의 성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NCS 기업활용 컨설팅의 두 번째 세부적 성과는 ‘채용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인적자원 확보’로 나타났다(하위집단 네트워크 2). 이와 같은 성과는 NCS 기반 직무분석을 통해 기업이 인재프로파일에 적합한 채용을 실시함으로써 신규?우수인력의 확보와 이직률 감소의 성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넷째, NCS 기업활용 컨설팅 세부 성과 중 마지막 세 번째는 ‘직무중심 접근을 통한 능력중심 인사관리체계 수립’이다(하위집단 네트워크 3). 이와 같은 성과는 NCS 기반의 직무중심 컨설팅을 통해 각 기업의 인사관리체계가 능력중심 인사관리체계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ndency of performance for best practices in NCS consulting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The research samples are collected by using best practice casebook of NCS consulting published between 2016 and 2018. A total of 21 companies voicing for NCS consulting performance are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for best practices in NCS consulting cover 15 core opics including job, hiring, employees, development, training, utilization, organization, job description, NCS, foundation, systematic, hiring process, HR management, system, and assessment. Second, the them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improvement throughout the customized training’ was identified as a major sub-performance for best practices in NCS consulting (represented by sub-network 1). Third, the theme ‘securing human resources throughout improved recruiting process’ was identified as a major sub-performance for best practices in NCS consulting (represented by sub-network 2). Fourth, the theme ‘systemizing competency-oriented HR management throughout the job approach’ was identified as a major sub-performance for best practices in NCS consulting (represented by sub-network 3).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