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3호

한국의 대기업은 어떤 청년을 선호하는가?

What Kind of Youth Do Korean Major Companies Prefer in Recruiting?
저자명
채창균 양정승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2-03-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11.30
등록일
2019.12.17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00대 대기업이 청년 채용 시 서류전형단계와 면접 단계에서 어떤 스펙과 숙련을 중요시하는 지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형 컨조인트조사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 방식을 채용할 경우 전통적인 생략변수로 인한 편의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분석 결과, 서류전형 단계에서는 졸업 시점이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특히 졸업 후 3년 이상이 경과된 청년들의 경우 졸업평점이나 전공의 직무적합성, 출신학교 등이 최고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졸업 시점의 약점을 극복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임이 확인되었다. 졸업 시점 다음으로는 졸업평점, 전공의 직무적합성, 출신학교가 비슷하게 중요시되고 있었다.
면접 단계에서는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직무 관련 기초지식과 같은 특정 기업이나 업종에서 요구하는 숙련보다는 도덕성/인성, 팀워크, 인내력, 문제해결능력 등과 같은 어떤 직무를 수행하더라도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이 더 중시되고 있었다. 직업기초능력 중에서는 도덕성/인성이 다른 어떤 요인보다도 중요시되고 있었고, 도덕성/인성 다음으로는 팀워크, 인내력, 문제해결능력 등이 중요했다. 
 This study analyzes qualifications (in Korea, known as “spec,” shortened from the English “specifications”) and skills to which the top 500 Korean corporations attached importance when recruiting candidates. The study uses the choice-based conjoint method a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ree from omitted variable bi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ir timing of graduation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tage of assessing their supporting documents for qualifications and skills. In particular, young people applying more than three years after graduation had difficulty overcoming the weaknesses of the graduation timing even if their grades, job suitability of major, and school reputation were the highest. After graduation timing, grades, job suitability of major, and school reputation were similarly important.
In the interview stage, core competencies  commonly required for any job, such as morality and personality, teamwork, endura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skills required by a particular company or industry,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company and the job and basic knowledge of the job.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e variable of morality and personality w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teamwork, endura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