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진성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X세대와 Y세대 감정노동자를 중심으로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n the Job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Emotional Workers in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저자명
장미영 리상섭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2-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7.31
등록일
2020.08.26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X세대와 Y세대 감정노동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모형 분석을 통해 조직 내 리더십 함양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직업교육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감정노동직군 종사자 36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성실히 응답된 344명의 설문지를 SPSS 22.0 및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성리더십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성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 영향력이 X세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Y세대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감정노동 직군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조직 내 관리자는 진성리더십을 함양, 발휘하여 심리적 주인의식 강화 및 직무소진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X세와 Y세대에 대한 접근을 달리해야할 것이다. 또한 조직 내 인사·교육 실무자들은 리더의 진성리더십 함양과 감정노동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 향상을 위한 실무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adership in organization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contributions to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through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burnout’s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analysis of job burnout regarding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job turnover intention of emotional workers in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For this purpose, 367 emotional workers were surveyed and 344 questionnaires who responded in good faith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show that authentic leadership did not directly affect job turnover intentions, but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burnout’s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analysis were meaningful. Also,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influence of psychological ownership was not significant for Generation X, but it was meaningful for Generation Y. Therefore, as a way to reduce the job turnover intention of emotional workers, managers in organizations need to mitigat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burnout by improving and using authentic leadership with different approaches to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In addition, practitioners of personnel and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should make practical efforts to improve the authentic leadership of leaders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emotional worker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