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Group Mnet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관련 변수 탐색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variables explored via group Mnet
저자명
노민정 유진은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2-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7.31
등록일
2020.08.26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개발역량과 관련된 변수를 탐색하여 학교진로교육의 활성화 및 효율성 증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으로 분류되는 group Mnet을 이용하여 ‘진로교육 현황조사(2018)’에 답한 고등학교 2학년 9,546명의 학생 변수와 해당 학생이 소속된 학교의 학교관리자, 담임 및 진로전담교사 변수 412개를 하나의 통계 모형에서 탐색하였다. 무선분할과 모형화를 100번 반복한 후, 총 28개의 설명변수가 100번의 반복에서 모두 선택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학생 변수는 24개로, 학교생활 및 학교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만족도, 도전정신, 학습태도, 학습동기, 직업 및 진로 관련 정보에 대한 인지 정도, 학부모와의 진로 관련 대화 빈도, 고등학교 졸업후 진로 계획 등이었다. 학교 관리자 및 교사 변수는 4개로, 진로교육 관련 민간 기업 및 체험처의 지원 정도, 『진로와 직업』 수업 교과서 활용 여부, 『진로와 직업』 수업 운영 시기, 학교 유형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진로교육 개선에 필요한 교육적 개입 방향 및 후속 연구 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mportant predictors to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and accordingly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particular, group Mnet(a penalized regression method) was employed to consider 412 predictors of 9,546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8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in one statistical model. Specifically, this study repeated 100 times of modeling with random data splitting, and obtained selection counts of each variable in the 100 repetitions. As a result, 28 variables were selected 100% of the time, comprising 24 student variables and 4 school variables. The 24 student variables selected included degrees of satisfaction towards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learning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levels of recognition on career/occupation information, children-parent conversation frequencies, and career planning after graduation. The 4 school variables related to community-level support, textbook usage of the subject of “Career and Jobs”, and its semester offered, and school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as well as future research topics were proposed and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