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경향점수 매칭과 생존분석을 활용한 대학졸업자들의 첫 일자리 획득 시점과 영향요인 검증

Examining the First Job Acquisition Period and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ctors on University Graduate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Survival Analysis
저자명
전현정 이정민 백승희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2-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7.31
등록일
2020.08.2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졸업자들의 첫 일자리 획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첫 일자리 획득까지의 기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청년고용정책 및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통해 경향점수 매칭 방법(propensity score matching), 로지스틱회귀 분석과 생존분석 기법 중 하나인 콕스비례 위험 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요인, 프로그램 참여 여부, 취업 준비활동 경험 여부, 청년고용정책 참여 여부의 대부분의 요인들이 첫 일자리 획득 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첫 일자리 획득까지의 기간을 살펴 본 결과, 첫 일자리 획득 시까지의 기간은 평균 11.7개월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의 변화에서 졸업 후 5개월 사이에 첫 일자리를 획득하는 대졸자가 가장 많았고 졸업 후 약 1년까지도 첫 일자리 획득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첫 일자리 획득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첫 일자리 획득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졸업자들이 대학교육을 마치고 일자리를 획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supplement the youth employment policy and program b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rst job acquisition and the period to the first job acquisition. To do this, propensity score match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applied to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factors such as individual factor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experience in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participation in the youth employment policy were found to influence the first job acquisition. In addition, the period to the first job acquisition was 11.7 months on average. Moreover, most university graduates earned their first job within five months after graduation, and their first job acquisition continued until about a year after graduation.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rst job acquisition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rst job acquisition coinci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the policy measures that can help university graduates get a job were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