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숙련변화 분석과 교육훈련 개선과제 도출
Skills change and Innovation of TVET
- 저자명
- 황규희 김민석 박인성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3-02-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07.31
- 등록일
- 2020.08.26
본 연구는 직업의 변화, 숙련의 변화를 분석하여 교육훈련 수요에 대한 시사를 얻고자 한다. 미국 직업정보(O*NET OnLine) 2010년 854개 직업정보와 2019년 968개 직업정보의 숙련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로 부터 한국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직업 변화 특성 차이를 고려한다. 미국에서의 숙련변화가 기존직업 내에서의 숙련변화보다 새로운 직업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에 대하여, 한국에서는 새롭게 등장하는 직무를 통해 숙련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 제안은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숙련의 등장 및 숙련 변화에서 직종간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교육훈련 대응에서도 직종간 차이가 적극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 숙련상승에 대한 재교육훈련과 새로운 숙련의 등장에 대한 대응의 상대적 중요성이 직종별 차이를 가진다. 2) 세부 숙련측면에서, 관리 스킬 증가와 분석 스킬의 증가가 전반적인 현상이다. 이에 대한 교육훈련 강화는 일반적인 필요가 있다. 3) 전통적 제조직종 중심 단순직에서, 기초 스킬(읽기, 쓰기, 수리, 과학), 분석 스킬(판단, 분석, 평가), 학습 스킬(비판능력, 학습능력), 문제해결 스킬의 증가가 두드러진 것은, 기능 스킬(설치, 작동, 유지, 보수) 중심 교육훈련으로부터의 전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of occupation and skill and to get an implication of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O*NET OnLine, skills level of 854 job in 2010 and 968 job in 2019 were compared. Considering the appearance of new job in US can be regarded as the appearance of new task in Korea with the difference of labour market and job characteristics in US and Korea, the skills change through emerging jobs in US is interpreted as the skills change through emerging tasks in Korea. The main suggestion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s in the emergence of new skills and changes in skills, and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s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responding to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education and re-training for the rise of existing skills and the response to the emergence of new skills differ by occupation. 2) In terms of detailed skills level, an increase in Resource Management Skills and an increase in System Skills is the overall phenomenon. There is a general need to strengthen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is. 3) The increase in Basic Skills (reading, writing, mathematics, science etc), System Skills (judgment, analysis, evaluation), Learning skills (critical thinking, learning strategies), and Complex Problem Solving Skills was remarkable in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related simple job. It raises the need for a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raining focusing on technical skills (installation, operation, maintenance, repairing).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