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공정성과 효용성 분석

A Study on the Fairness and Effectiveness of Qualification as a Recruitment Tool
저자명
오호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2-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7.31
등록일
2020.08.26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 대졸자의 자격취득실태를 분석하여 자격의 효용성과 채용도구로서의 공정성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이하 GOMS)? 3개년도 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항로짓분석, 다항로짓분석, 순서형 로짓분석 등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졸 청년층의 자격취득은 자격유형별로 민간자격의 증가, 국가기술자격의 감소라는 특징을 보였고, 주된 자격취득 목적은 취업으로 나타났다.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공정성 이슈와 관련하여 가구소득과 청년층의 자격취득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아 자격은 대체로 공정한 채용도구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자격보유자의 주관적 평가에 기초한 자격의 효용성을 분석한 결과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효용성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자격이 채용도구로서 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부개입을 통해 자격제도에 대한 신뢰성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자격 종목별 효용성 평가, 자격정보시스템의 고도화 등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for young college graduates, diagnosed the effectiveness and fairness of qualification as a recruitment tool and derive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econometric analysis method, I found following results. 
Firstly, college graduate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private qualifications and decreasing the number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the main purpose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was employment. Secondly, I was not able to find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youth qualifications acquisition and this means that qualific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fair recruitment tools in general. In addition, based 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qualification holders, qualifications also served as a increasing factors for qualification holders satisfaction.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qualification was considered as a fair and effective recruitment tool for young college graduates.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overall qualification system,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such as effectiveness evaluation tools by qualifications, developing credential information on qualif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on qualification.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