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직업의식과 직업윤리가 갑을 인식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ployees’ Work Values and Work Ethics on Gop-Ul Perceptions and Income
저자명
박천수 박화춘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4-01-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1.03.31
등록일
2021.04.13
본 연구는 일자리에서 갑을 인식의 분포, 갑을 관계를 결정하는 요인, 직업의식과 직업윤리가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조사에 참여한 취업자 중 999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고, 기술통계, 회귀분석, 회귀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자리에서 자신이 갑이라고 인식한 응답자는 11.8%인데, 남자(13.7%)가 여자(9.2%)보다 더 높은 비중을 보였다. 연령대별로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별로 대졸 이상과 고용지위별로 비임금근로자에서 갑이 많았다. 갑을 인식 결정에 영향을 주는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요인은 사회적 영향력, 권력이 있는 직업, 직업윤리 중 주도성,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 등으로 나타났다. 자신을 갑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는 을로 인식하는 응답자보다 직접 비교에서 평균 44.2% 이상 높은 소득을 보였다. 학력이나 연령 등 다른 여건을 고려해도 갑 응답자는 을보다 13.1% 더 높은 소득을 얻고 있다. 갑은 업무에서 상대적인 우월뿐만 아니라 보상에서도 유의미하게 높은 소득 프리미엄(income premium)을 얻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employees’ perceptions of their status in the workplace as Gop or Ul, the determinants of Gop or Ul, and the effects of work values and work ethics on Gop- or Ul- perceptions and their income. A total of 999 Korean employees between the ages of 18 and 64 provided usable data colle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in 2018 to examine Koreans’ work values and work ethics. Data were analyzed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the ordinary least square model. The findings revealed that 11.8% of employees perceived themselves as a Gop and the male was 13.7% and that as employees get older, have higher degrees, and are self-employed, the possibility of perceiving him or her as a Gop increases. The main determinants of Gop-Ul perceptions related to employees’ work values and work ethics were the degree of social influence of one’s job, the degree of authority, initiatives, and employees’ attitudes toward work. Employee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a Gop earn about 44% more income than those who did Ul. With others being equal, Gops’ income is 13% more than Uls’, which suggested that Gops have benefits of income premium in the workplace in Korea. Further studie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