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잠재전이분석을 통해 살펴본 미취업 청년의 취업눈높이 변화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Unemployed Youth’s Expectation of Employment through Latent Transition Analysis
저자명
전혜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4-01-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1.03.31
등록일
2021.04.13
본 연구는 미취업 청년의 취업 눈높이의 변화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청년 미취업자의 특징을 파악하고 청년 일자리 정책방향을 짚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패널 10차-12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과 잠재전이분석을 위해 구직조건 5문항을 사용하였으며,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위해 개인변인과 인적자본 변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미취업자의 취업 눈높이에 따른 그룹은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취업눈높이에 따른 잠재전이 분석결과 업무·환경 중시형과 낮은 눈높이 그룹 과반수는 그대로 눈높이를 유지하는 한편, 회사규모 중시형은 그룹은 다음 해에 다른 그룹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업무·환경 중시형 또는 회사규모 중시형으로 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은 학력, 경제상태, 시험준비 여부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년들의 눈높이가 무조건 높은 것이 아니라 점차 취업 조건에 관대해진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청년들에게 일자리 자체를 늘려서 제공하는 것보다 청년들 눈높이 특징을 고려하여 취업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unemployed youth by analyzing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ir expectation of employment and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for youth employment. Using data from the 10th to12th  Youth Panel, the study selected five items of job search conditions for potential class analysis and potential transition analysis of unemployed youth as well as individual and human capital variables for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unemployed young people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expectation. Second, the potential transi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expectation shows that the work/ environment-oriented group and a majority of the low expectation group maintained their expectation of employment, while the company size-oriented group were highly likely to transfer to another group in the following year. Third, factors influencing the transition of their focus to work/environment or company size included their academic backgrounds, economic status, and preparation for job entrance examin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 youth did not have unconditionally high employment expectation, but they became gradually tolerant of employment condi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provide employment counsel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expectation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them with more job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