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장인적 영향력 척도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of ‘Masteristic Influence’
저자명
최솔 이정아 최현식 김은수 장원섭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4-01-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1.03.31
등록일
2021.04.13
본 연구는 일하는 사람의 전범(典範)인 장인이 타인, 조직,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힘인 장인적 영향력의 개념과 하위요소를 정의하고 관련 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장인의 일과 배움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일터에서의 영향력과 관련된 국내외 척도를 검토함으로써 25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장인성 연구나 논문작성에 참여한 적이 있는 24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 델파이 조사를 시행함으로써 최종 개념을 정의하고 5개 요인, 23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은 직장인 219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그 하위 요인을 3개로 축소하였다. 최종적으로 525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수행하고 요인 신뢰도,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여 문항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확인적 요인분석(CFA)과 개념 타당성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장인적 영향력의 3개 하위 요인, 23개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척도는 최초의 장인적 영향력 계량적 측정 도구로 일터에서의 관계를 통한 긍정적 효과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다.
Defining the ‘Master’ as an ideal archetype for workers,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Masteristic Influence’, describe distinct factors of ‘Masteristic Influence’, and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y of ‘Masteristic Influence’. An initial pool of 25 items was developed through an exploration of empirical researches. Through the two Delphi surveys, ‘Masteristic Influence’ has been 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into five distinct factors and 23 items.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N=219), the two distinct factors have been eliminated. By utilizing the data acquired from the main survey (N=525),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have been conducted. Consequently, it indicates that the three distinct factors and 23 items of ‘Masteristic Influence’ have high validity and high reliability. This scale is expected to play a pivotal role as a quantitative instrument in facilitating further studies concerning the positive effect of ‘Masteristic Influence’ in the workplace.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