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기본과정의 효과 분석 및 기업현장교사 역량 개발 지원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of the Basic Course for In-Company Trainer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and the Support Plans to Develop Competency of In-Company Trainers
저자명
김대영 이선우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4-01-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1.03.31
등록일
2021.04.13
본 연구는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기본과정의 효과를 분석하고, 기업현장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조사하였다. 김대영 외(2020)에서 수집된 기업현장교사 538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현장교사 기본과정을 이수하는 것은 개인-기업현장교사 적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개인-기업현장교사 적합성을 매개로 기업현장교사 역량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업현장교사들은 역량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개발 전 기업현장교사 기본과정 이수 의무화’, ‘기본과정 담당 강사 양성 교육 강화’, ‘지식, 정보 전달이 주목적인 것은 온라인 교육으로 시행’ 등을 주로 지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역량 개발 지원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basic course for in-company trainers of Korean work-learning dual system, and investigate the policy support plans to develop competency of in-company trainers. Survey respondents were 538 in-company trainers of Korean work-learning dual system (Kim et al.,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course has a positive effect on person-job (in-company trainer) fit, and person-job (in-company trainer) ha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basic course and competency of in-company trainers. 
Second, the in-company trainers mainly agreed the following. ① Complete the basic course before developing a training course, ② Reinforce the training for instructors of basic course, ③ Implement on-line training for the contents those to delivery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to develop their competenc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