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의 직종별 전공분야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Analysis of needs on job-related in-service training for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저자명
박윤희 이수경 임수원 박혜형 이하린 김민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4-01-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1.03.31
등록일
2021.04.13
이 연구는 2020년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 보수교육 의무화가 법제화된 이후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훈련교·강사의 보수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전공분야 보수교육의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훈련교·강사의 디지털 신기술 분야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디지털 신기술 분야에 관한 보수교육 요구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NCS 소분류 257개 직종 중 최근 3년간(2017년-2019년) 활동한 훈련교·강사 수가 60명 이상인 NCS 소분류 98개에 포함된 NCS 세분류 361개와 디지털 신기술 13개 분야를 요구분석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전공분야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는 훈련교·강사 2,7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단계의 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NCS 세분류와 디지털 신기술에 대한 훈련교·강사의 현재 수준과 필요 수준의 차이(gap) 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았다. 둘째, Borich 요구도 공식을 적용하여 요구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최우선순위군과 차우선순위군의 NCS 세분류와 디지털 신기술 분야를 도출하여 최종 요구를 확인하였다. 훈련교·강사의 전공분야 보수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결과, 훈련교·강사의 교육 요구가 높은 ‘NCS 세분류 169개 분야’와 ‘디지털 신기술 7개 분야’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 전공분야 보수교육 과정을 개발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of job-related in-service training for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The research also analyzed the needs of special training in digital new-technology area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enable more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for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361 NCS sub-classifications in which the number of actively working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during the last three years (2017-2019) are above 60, (2) 13 digital new-technology areas. In addition,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794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To analyze the needs of job-related in-service training, three ways of methods were used including the paired sample t-test, the formula for the priority decision of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is study found that 169 NCS sub-classifications and 7 digital new-technology areas had higher needs on job-related in-service training for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when developing needs-based job-related in-service training and establishing the standards for in-service training for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