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2호
직무중요성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Job Significanc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 저자명
- 조영윤 이찬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4-02-0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1.07.31
- 등록일
- 2021.08.30
이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연령별 공공봉사동기를 비교하고, 직무중요성, 내재적 동기, 공공봉사동기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조직차원에서 공공봉사동기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사회간접자본 분야의 대표성이 있는 공공기관 종사자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연령별 공공봉사동기를 비교분석하고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사용하여 변인 간 관계 및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기관 종사자의 공공봉사동기는 연령별 집단 간 평균의 차이가 있으며, 20대보다 50대가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중요성과 내재적 동기는 공공봉사동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직무중요성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 to compare public service motivation among different age groups of public employees and (ii)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job significance, intrinsic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present implications for enhanc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within public institutions. For these purpos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308 public employees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test and Model 4 from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those in their 50's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ose in their 20's. Second, job signific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have positive direct impact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rd, intrinsic motiv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ignificanc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2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