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2호

전문대학에서의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과 시사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Operation Cases in Vocational Universities
저자명
이정표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2-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7.31
등록일
2022.08.30
이 연구는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전문대학에서의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역량 및 핵심역량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념 분석 틀을 설정하여 2개 전문대학의 운영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대학은 일반재정지원 형태의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에 참여하면서 중장기 대학비전과 연계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하고 있다.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기존 SCK사업을 통해 운영되어 왔던 NCS기반 교육과정에 핵심역량 요소를 추가로 매칭하는 방식으로 구성?운영되고 있다. 핵심역량은 그동안 전문대학에서 강조해 왔던 직업기초능력 요소와 중복성 문제를 안고 있다.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은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의 평가에 취약하며 사전적 깊은 성찰과 담론 없이 혼란스럽게 도입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재정지원 방식의 변화와 함께 전문대학 차원에서 고등직업교육과정의 방향에 대한 심도있는 검토와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n vocational universities and examine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y.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vious studies on key competency were analyzed, and two vocational universities’ operation cases were analyzed by adapting a concept analysis framework for the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vocational universities are designing and operating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linked to mid- to long-term university vision while participating in vocational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s in the form of general financial support. The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organized and operated in a way that additionally matches key competency elements to the NCS-based curriculum that has been operated through the existing SCK project. It also has a problem of redundancy with the element of basic(core) vocational ability emphasized in vocational universities. 
The curriculum of vocational universities is vulnerable to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rojects and is introduced and operated in confusion without prior deep reflection and discourse. Therefore,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metho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in-depth review and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the higher vocational curriculum within vocational universiti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