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2호

직업계 고등학교 출신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요인 분석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and Analyzing Determinants
저자명
하승혁 홍세희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2-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7.31
등록일
2022.08.30
본 연구는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재학 당시의 개인 특성과 경험 중 직장만족도 잠재프로파일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해당 연구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의 1차(2016), 2차(2017), 3차(2019)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중, 1차 설문에서 마이스터 및 특성화고등학교 2학년 설문에 응답하고 3차 설문에서 ‘주된 일자리-임금근로자’ 설문에 응답한 졸업생 1,037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결과, “직장만족도 저 집단”, “직장만족도 중 집단”, “직장만족도 고 집단” 총 3개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자기 탐색적, 진로 관련, 취업 관련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잠재프로파일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고, 교내 취업 관련 활동 참여 만족도가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는데 모두 영향을 미쳤던 유일한 변수임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재학생에게 필요한 교육 및 취업의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i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and analyze the related determinant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st(2016), 2nd(2017), and 3rd(2019)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Ⅱ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The profiles were extracted from 1,037 people who had graduat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went to the company.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ree latent profiles emerged: low-level job satisfaction group (28.3%), middle-level job satisfaction group (58.6%), and high-level job satisfaction group (13.1%). In addition, it was proved whether demographic, introspective, career, and employment factors influenced the latent profile. Furthermore, in-school employment activity satisfaction had affected all profile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is research discusses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look at the educational or vocational content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fter getting a job.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