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20권 6호

[조사·통계 브리프] 학교 진로교육 측면의 자유학기제 효과 분석

저자명
장현진 류지영
분류정보
THE HRD REVIEW(20-06-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7.11.30
등록일
2017.12.05
Ⅰ. 서론
   □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도입, 정착 및 확대
   □ 자유학기제로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및 학생 진로탐색 증진을 기대
   □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가 도입되면서 자유학기제와 연계하여 학교 진로교육에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
   □ 자유학기제의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측면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 필요

Ⅱ. 분석 설계 및 자료
   1. 분석 설계
   2. 분석 자료
     □ 진로교육 현황조사(2016년) 자료 활용
     □ 분석 항목 및 방법

Ⅲ. 분석 결과

   1. 학교 진로교육 여건 강화 측면
     □ 자유학기제 운영 여부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환경 여건의 차이
     □ 자유학기제 운영 여부에 따른 교과연계 진로교육 실시 수준 차이
     □ 자유학기제 운영 여부에 따른 학교 진로활동 시수 비율의 차이

   2. 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참여 확대 측면
     □ 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여부에 따른 학교 진로활동 참여 여부 차이
     □ 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여부에 따른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 차이

   3. 학생의 진로교육 성과 창출 측면
     □ 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여부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수준 차이
     □ 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여부에 따른 자율적 학습동기 수준 차이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20권 6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